전체 글 255

정말 그럴지도...

SF 소설이나 영화에서 자의식이 생긴 무지 똑똑한 인공지능이 사람들에게 못된 일을 하는 것이 종종 묘사되곤 했다. 절대 우월한 AI가 인간을 해치게 된다면,AI가 인간에 대해서 특별한 이해충돌이나 원한을 가져서 그런 일을 하는 것이 아닐 수 있다. 우리가 발 밑에 개미나 옷에 있는 진드기를 뭐 특별히 증오해서 죽이는 것이 아니듯이 AI도 인간에 대해 그런 것이다. 그냥 별로 신경쓸 존재가 아닌 것이다이렇게 생각할 수 있다. 개미가 왜 인간이 자기 집을, 자기들을 짓 밟는지 이유를 모르듯이 우리 인간이 왜 AI가 우리에게 못되게 하는 지 그것들과 하도 격차가 커서 이해를 못하는 일이 생길 수 있을까? 흠... 이세돌과 알파고의 게임에 대해 인류와 인공지능 어쩌구 저쩌구... 언론 하는 것이 웃기지도 않는다..

Round Here 2016.03.14

First baby step for Linear Algebra

Linear equation들로 이루어진 linear system, 이를 matrix 형태로 표현하는 것, vector, vector들의 linear combination, 그리고 matrix-vector 곱하기 Ax를 A의 column들의 linear combination 형태로 해석하기, x를 매트릭스 A로 linear transform해 새로운 vector Ax를 만들기와 같이 scalar, vector, matrix로 된 식을 적절하게 해석하는데 익숙해져야 linear 식이 얘기하는 것을 들을 수 있다. Linear System - The coefficients are also said 'weights' A system of linear equations (simply, linear system)..

알파고가 참...

어제, 오늘 알파고가 이세돌과 붙어 내리 이기고, 9시 뉴스에 인공지능 얘기가 첫 소식으로 등장한다. 살다보니 이런 일도 생긴다.바둑이 서로 상대 돌을 따 먹는 것이라고 알고 있었기에 이세돌-알파고 게임 실황 중계를 봐도 보는 재미는 없지만 해설자들의 얘기는 퍽 흥미로왔다. 이런 얘기를 한다."알파고에는 저런 데이터가 없을 텐데 어디서 저런 수가 나왔는지" "인공지능은 패턴에 따라 하는 것인데... ""알파고가 어제 했던 행태와 매우 다르다"이에 대한 얘기로, 알파고는;- ConvNN으로 된 환경(바둑판) Valuation Estimator, Policy Planner에 의지하죠. 취할 수 있는 잠재/valid action은 모든 빈자리고, environment/바둑판은 완전히 관찰할 수 있고요. Rus..

Round Here 2016.03.10

알파고 논문을 읽으면서 ... 생각나는 대로

바둑판 줄이 몇개인지 모르고, 인공지능 감은 잃었고, Deep Learning은 수박 겉핥기로 아는 나도 읽을 수 있게 해 주어 고마운 생각에. page 1)■ MCTS와 같이 Monte Carlo 기반의 game tree에서의 search는 (당연히) sampling/roll_out을 많이 하면 할 수록 바둑판의 유/불리 상황이나 다음 수로 어떤 것이 최적일까 추정하는 것이 정확해진다. 문제는, 바둑의 search space가 너무 크다. 바둑과 같이 막대한 크기의 search space를 갖는 Game Tree의 search space를 줄여보자. 1. Search Depth를 줄이자 : 게임을 끝까지 하지 않고도 현재 상태, 또는 현재 상태에서 어느 정도까지 depth를 내려 가면 누가 이길 지 결..

Expectation, Variance, Covariance 공식

수학은 어려웠고 잘 하지 못했다. 대학원에서 수학을 들으면서 수학의 자기 얘기가 비로소 조금씩 들리기 시작했는데. 이제 취미로라도 수학을 보려는데 익숙하던 것도 어색하다. 다시 감을 좀 찾을 수 있을까 토막들과 링크를 기록하며 나아가 본다. X, Y, Z : random variables a, b, c, d, k : constants Var(X) = = E[(X - E(X))2] = E[X2] - E2[X] Sd(X) = = E(c ) = c E(X ± k) = E(X) ± k E(kX) = kžE(X) E(X ± Y) = E(X) ± E(Y) E(XY) = E(X)E(Y) if X and Y are independent cov(X, Y) = = E[ (X-E(X))ž(Y-E(Y)) ] = E[XY] –..

임금 격차

10대 초 어느즈음 어른 세계에서 어른들이 일을 해서 받는 수입이 많이 다르다는 것을 알고 놀랐다. 3-4배도 많은 것 같은데 수백배씩 차이가 난다니. 임금 격차가 무한대로 벌어져도 되는 것인지, 이런 격차가 어찌 생겼는지, 개인차이를 인정하면서 사회가 조화로울 수 있는 격차는 어느 정도인지, 이런 물음들이 그 때부터 줄곧 뇌리 한 부분에 또아리를 틀고 있다. 최고의 품질, 효율, 창의성, 인류의 발전을 위해 때로 엄청난 인센티브가 필요하다 해도 그것의 대부분이 임금이나 경제적 이익이 되어서는 안된다는 생각이 더 깊어진다.

Round Here 2015.12.25